[김대호의 경제읽기] WTI, 배럴당 90달러 돌파…작년 11월 이후 처음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자고 일어나면 오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국제 유가가 무섭게 치솟고 있습니다. 브렌트유에 이어 미국 내 원유 가격의 지표가 되는 서부텍사스산원유인 WTI 가격도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했는데 유가 추이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미국 소비자물가에 이어 생산자 물가 또한 시장의 예상치보다 높은 모습을 보였습니다. 다만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의 오름세는 덜했는데, 8월 PPI 상승 원인은 에너지 가격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?<br /><br /> 미국의 8월 소매 판매는 7월 대비 0.6% 오르며 미국의 경제를 지탱하는 소비가 계속해서 증가 중이라는 것을 입증하긴 했지만, 상승 요인은 휘발유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었는데요.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를 유지해도 문제없을까요?<br /><br /> 유가 상승의 여파가 다음 주 열리는 FOMC 회의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? 유럽중앙은행이 예상을 깨고 10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는데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 아닐까요?<br /><br /> 한편 국내 물가가 3%대로 반등하고 생산·소비·투자 등 국내 산업활동이 모두 하락지표를 보이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"경기 둔화 흐름이 완화하고 있다"는 진단을 내놓았습니다. 근거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국제유가가 오르며 국내 기름값도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.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10월까지 연장한 유류세 인하 조치를 더 연장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는데 필요성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최근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이차전지 업체들이 빠르게 몸집을 키우면서 국내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시장 상황, 어떻게 진단하시나요?<br /><br /> 하지만 국내 3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개선되고 있고, 유럽과 북미 지역 시설 증설을 바탕으로 향후 점유율이 큰 폭으로 반등할 거란 전망도 나왔는데 어떻습니까? 생존을 위해 어떤 대비가 더 필요하다 보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